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테이퍼링 한국 금리 영향 및 역사

by $$%&*()$$*&()&^%%^$ 2021. 8. 29.

테이퍼링 한국 금리 영향

 

 테이퍼링이라는 용어는 2013년 5월 23일 날 시작되었습니다. 테이퍼링의 뜻은 경제 위기를 막기 위해 이자율을 낮추고 채권을 매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시장에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정책입니다. 어려운 단어 일수 있지만 이미 13년도에 미국 연준 연방 제도에서 시행을 했으며 그게 현재 진행형으로 미연준에서 계속 시행되어오는 정책입니다. 돈을 막 풀어서 경제회복을 시킨 다음 풀었던 돈을 채권이나 부동산으로 다시 돈을 챙기는 현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빠르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테이퍼링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현재 상황

 

 한 번 더 생각을 해보면 미국에서 풀었던 돈들이 각 나라에 들어갔을 겁니다. 그런데 그 풀었던 돈을 나라의 채권이나 부동산으로 다시 가져가려고 하는 현상입니다. 그러니 각 나라의 은행들이 그 받았던 돈을 다시 회수해서 미국에 줘야겠지요? 그러다 보니 급하게 대출을 막아서 나갈 돈을 막은 다음 돈을 회수해서 갚아야 하는 상황이 오는 것입니다.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이유는 돈을 푸는 거에 대한 중지가 아닌 돈을 푸는 것에 대한 축소이기에 돈을 조금 풀어도 같은 이자를 챙기기 위한 미연준의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현재 주식을 하던 분들은 대출이 막혀버리니 갚아야 되는 날짜에 손해를 보더라도 팔아서 갚아야 하는 상황이 당장 발생하게 되며, 부동산은 집을 곧 구매하실 분들은 금리가 쌀 때 빌려서 구매한 사람보다 이자를 더 많이 내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금리인상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며 신경을 쓰는 거라고 보입니다.

테이퍼링이 일어났던 과거는 어떻게 대처를 했나?

 테이퍼링은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2007년도에 미국 금융위기로 인해 시작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2013년 5월에 테이퍼링 선언을 했으며, 지금까지 현재 진행형으로 흘러 오고 있으며, 미국 중앙은행 연방 준비제도(미연준)의 말에 따라 초안이 조금씩 변화를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과거는 없으며, 현재 진행형인 정책이기에 예측은 어렵지만, 대충 나오는 연준의 말에 따르면 21년에 테이퍼링을 선언할 계획이고, 22년 3월에 테이퍼링이 시작됩니다. 24년 3월엔 금리 인상의 시기로 추측한다고 보입니다.
다시 요약하자면 21년 선언하게 된다면 22년 3월에 테이퍼링 시작으로 주식과 부동산에 충격이 예상되며, 24년 3월엔 금리 인상의 시기라면 금리가 크게 오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됩니다.

댓글